견조한 수출·제조업 회복 흐름 등 반영
올해 코로나 위기전 수준 회복 전망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개월 전보다 0.5%포인트 높인 3.3%로 제시했다. 이는 기획재정부(3.2%)와 한국은행(3.0%), 국제통화기금(3.1%) 등 전망치보다 높은 수준이다.
OECD는 9일 발표한 ‘중간 경제전망(Interim Economic Outlook) 보고서’를 통해 올해 한국 성장률을 3.3%로 전망했다.
기획재정부는 “최근 세계경제 회복세, 견조한 수출·제조업 회복 흐름, 추경 등 적극적 정책효과 등을 반영해 상향 조정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OECD의 전망에 따르면 올해 중 코로나 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하는 국가는 G20 국가 중 7개국, 전망치가 발표된 OECD 회원국(12개국) 중 4개국에 불과하다.
기획재정부는 “한국은 상대적으로 적은 코로나 피해 및 빠른 회복세에 힘입어 다른 나라에 비해 경기 진폭을 최소화하면서 올해 중에 위기 전 경제규모를 회복할 것으로 본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한국경제 성장률은 G20 가운데 중국, 터키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이는 G20 회원국 내에서는 가장 양호한 실적이다.
OECD는 “효율적 방역 조치, 정부 정책 노력 등이 코로나 충격 최소화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한편,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해 12월 4.2%에서 5.6%로 올려 잡았다.
OECD는 “올해 세계 경제는 백신 접종 확대, 일부 국가의 추가 재정 부양책 등으로 주요국 중심의 성장세 확대가 예상된다”며 “특히 미국 경제의 빠른 회복과 이로 인한 교역 상대국의 수요 증가 등이 세계 경제 회복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회복 속도는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이며 대부분 국가가 2022년까지 위기 전 성장경로를 회복하지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코로나19 관련 높은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 가능성, 금융시장 취약성 등을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언급했다.
OECD는 향후 정책 방향도 제시했다. ‘지속 가능하고 포용적인 회복’을 제시하면서 백신 생산·보급 가속화 및 국제 공조, 검사·추적(test-track-trace) 등 효율적 방역의 지속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되 자산 가격 상승 등에 대비한 거시건전성 조치 활용을 권고하고, 재정정책은 성급한 정책 중단에 따른 부작용에 유의하고 수요 진작과 일자리 기회 확대를 위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집행을 강조했다.
아울러 위기 초반에 경제 전체적으로 시행된 지원 조치는 코로나19 피해 계층에 보다 집중적으로 지원되도록 전환할 필요성과 위기 이후 경제 복원력과 성장 잠재력 강화를 위해 디지털화, 기후변화 대응 등 구조개혁 노력을 지속하라고 제시했다.
<저작권자 ⓒ 스포츠아웃라인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